오늘은 직업정보론 21년 2회 기출문제 중에서 51~60번까지 공부하겠습니다.

51. 한국표준산업분류(제10차)한국 표준산업분류(제10차)의 산업분류 결정방법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생산단위 산업활동은 그 생산단위가 수행하는 주된 산업활동 종류에 따라 결정
② 계절에 따라 정기적으로 산업활동을 달리하는 사업체의 경우엔 조사대상 기간 중 산출액이
많았던 활동에 의하여 분류
③ 설립 중인 사업체는 개시하는 산업활동에 따라 결정
④ 단일 사업체 보조 단위는 별도의 사업체로 처리
해설) 단일사업체 보조 단위는별도의 사업체로 처리
52. 평생학습계좌제(www.all.go.kr)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개인의 다양한 학습경험을 온라인 학습이력관리시스템에 누적·관리하여 체계적인 학습설계를
지원한다
② 개인의 학습결과를 학력이나 자격인정과 연계하거나 고용정보로 활용할 수 있게 한다
③ 전 국민을 대상으로 실시하는 제도로서 원하는 누구나 이용이 가능하다
④ 온라인으로 계좌개설이 가능하며 방문신청은 전국 고용 센터에 방문하여 개설한다
해설) 방문신청은 전국 고용 센터에 방문하여 개설한다 → 평생교육진흥원
53. 워크넷에서 제공하는 채용정보 중 기업형태별 검색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① 벤처기업 ② 외국계기업 ③ 환경친화기업 ④ 일학습병행기업
해설) 대 강 외 벤 가 공 코 일 청로 암기
⇛ ⇛ 대기업 강소기업 외국계 기업 벤처기업 가족친화 인증기업 (공무원 공기업 공공기관)
(코스피 코스닥) 일학습 병행기업 청년 친화 강소기업
54. 직업정보의 가공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정보를 공유하는 방법을 강구하는 단계이다
② 정보의 생명력을 측정하여 활용방법을 선정하고 이용자에게 동기를 부여할 수 있도록 구상한다
③ 정보를 제공하는 것은 긍정적인 입장에서 출발하여야 한다
④ 시각적 효과를 부가한다
해설) 정보를 제공하는 것은 긍정적인 입장에서 출발하여야 한다 → 장단점을 편견 없이 제공해야 한다
55. 워크넷(직업·진로)에서 ‘직업정보 찾기’의 하위 메뉴가 아닌 것은?
① 신직업·창직 찾기 ② 업무수행능력별 찾기 ③ 통합찾기(지식, 능력, 흥미) ④ 지역별 찾기
해설) 신 지 분 통 업 대 이 테 - 암기
: 신직업·창직 찾기 지식 별 찾기 분류별 찾기 통합 찾기(지식,(지식, 능력, 흥미)
업무수행능력별 찾기 대상별 찾기 이색직업별 찾기 테마별 찾기
참고) 지식을 지역별 찾기로 오답 나옴
56. 워크넷에서 제공하는 학과 정보 중 자연계열의 “생명과학과”와 관련이 없는 학과는?
① 의생명과학과 ② 해양생명과학과 ③ 분자생물학과 ④ 바이오산업공학과
해설) 바이오산업공학과는 수산학과
참고: 공학계열 아닌 과 – 식품생명공학
자연계열 아닌 것 – 수의학과: 의약계 / 임산학과
건축학과 / 조경학과 : 공학계열
57. 민간직업정보와 비교한 공공직업정보의 특성에 관한 설명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필요한 시기에 최대한 활용되도록 한시적으로 신속하게 생산 및 운영된다 --> 민간
② 광범위한 이용 가능성에 따라 공공직업정보체계에 대한 직접적이며 객관적인 평가가 가능하다
③ 특정 분야 및 대상에 국한되지 않고 전체 산업 및 업종에 걸친 직종 등을 대상으로 한다.
④ 직업별로 특정한 정보만을 강조하지 않고 보편적인 항목으로 이루어진 기초적인 직업정보체계로
구성되어 있다.
해설) 특정시기에 국한되지 않고 지속적으로 제공하는 것
58. 한국표준직업분류(제7차) 개정 시 대분류 3 “사무 종사자”에 신설된 것은?
① 행정사 ② 신용카드 모집인 ③ 로봇공학 기술자 및 연구원 ④ 문화관광 및 숲·자연환경 해설사
해설) 행정사, 대학행정조교, 증권 사무원, 금융 사무원, 중계 사무원
59. Q-net(www.q-net.or.kr)에서 제공하는 국가기술자격 종목별 정보를 모두 고른 것은?
ㄱ 자격취득자에 대한 법령상 우대현황 ㄴ 수험자 동향(응시목적별, 연령별 등) ㄷ 연도별 검정현황(응시자수, 합격률 등) ㄹ 시험정보(수수료, 취득방법 등) |
① ㄱ ㄴ ② ㄷ ㄹ ③ ㄱ ㄴ ㄹ ④ ㄱ ㄴ ㄷ ㄹ
해설) 모든 보기가 답인 경우도 많으니 참고하자
60. 직업정보의 일반적인 평가기준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어떤 목적으로 만든 것인가
② 얼마나 비싼 정보인가
③ 누가 만든 것인가
④ 언제 만들어진 것인가
'공부하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직업상담학 - 2018년 1회 1~10번 기출문제 풀기 (0) | 2022.02.04 |
---|---|
발달심리) 심리성적 발달이론 1 - 정신분석이론의 개요 (0) | 2022.02.03 |
직업정보론 - 21년 2회 기출문제 공부하기 (0) | 2022.01.29 |
발달심리 ) 에릭슨의 심리사회적 발달 8단계 (0) | 2022.01.26 |
발달심리 - 발달연구 설계 (횡단연구와 종단연구) (0) | 2022.01.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