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공부하기

직업정보론 ) 21년 2회 기출문제 공부하기 - 2

오늘은 직업정보론 21년 2회 기출문제 중에서 51~60번까지 공부하겠습니다.

 

 

51. 한국표준산업분류(제10차)한국 표준산업분류(제10차)의 산업분류 결정방법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생산단위 산업활동은 그 생산단위가 수행하는 주된 산업활동 종류에 따라 결정

계절에 따라 정기적으로 산업활동을 달리하는 사업체의 경우엔 조사대상 기간 중 산출액이

    많았던 활동에 의하여 분류

설립 중인 사업체는 개시하는 산업활동에 따라 결정

④ 단일 사업체 보조 단위는 별도의 사업체로 처리

 

해설) 단일사업체 보조 단위는별도의 사업체로 처리

 

 

52. 평생학습계좌제(www.all.go.kr)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개인의 다양한 학습경험을 온라인 학습이력관리시스템에 누적·관리하여 체계적인 학습설계를

    지원한다

개인의 학습결과를 학력이나 자격인정과 연계하거나 고용정보로 활용할 수 있게 한다

전 국민을 대상으로 실시하는 제도로서 원하는 누구나 이용이 가능하다

④ 온라인으로 계좌개설이 가능하며 방문신청은 전국 고용 센터에 방문하여 개설한다

 

해설) 방문신청은 전국 고용 센터에 방문하여 개설한다 평생교육진흥원

 

 

53. 워크넷에서 제공하는 채용정보 중 기업형태별 검색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벤처기업 외국계기업 ③ 환경친화기업 일학습병행기업

 

해설) 대 강 외 벤 가 공 코 일 청로 암기

⇛ ⇛ 대기업   강소기업   외국계 기업   벤처기업   가족친화 인증기업   (공무원  공기업  공공기관)   

       (코스피  코스닥)     일학습 병행기업    청년 친화 강소기업

 

 

54. 직업정보의 가공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정보를 공유하는 방법을 강구하는 단계이다

정보의 생명력을 측정하여 활용방법을 선정하고 이용자에게 동기를 부여할 수 있도록 구상한다

③ 정보를 제공하는 것은 긍정적인 입장에서 출발하여야 한다

시각적 효과를 부가한다

 

해설) 정보를 제공하는 것은 긍정적인 입장에서 출발하여야 한다 장단점을 편견 없이 제공해야 한다

 

 

55. 워크넷(직업·진로)에서 직업정보 찾기의 하위 메뉴가 아닌 것은?

신직업·창직 찾기   업무수행능력별 찾기  ③ 통합찾기(지식, 능력, 흥미)   ④ 지역별 찾기

 

해설) 신 지 분 통   업 대 이 테 - 암기

 : 신직업·창직 찾기    지식 별 찾기     분류별 찾기     통합 찾기(지식,(지식, 능력, 흥미)     

  업무수행능력별 찾기     대상별 찾기     이색직업별 찾기     테마별 찾기

 참고) 지식을 지역별 찾기로 오답 나옴

 

 

56. 워크넷에서 제공하는 학과 정보 중 자연계열의 생명과학과와 관련이 없는 학과는?

의생명과학과    해양생명과학과     분자생물학과     ④ 바이오산업공학과

 

해설) 바이오산업공학과는 수산학과

참고: 공학계열 아닌 과 식품생명공학

       자연계열 아닌 것 수의학과: 의약계  /  임산학과

       건축학과 / 조경학과 : 공학계열

 

 

57. 민간직업정보와 비교한 공공직업정보의 특성에 관한 설명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필요한 시기에 최대한 활용되도록 한시적으로 신속하게 생산 및 운영된다 --> 민간

광범위한 이용 가능성에 따라 공공직업정보체계에 대한 직접적이며 객관적인 평가가 가능하다

특정 분야 및 대상에 국한되지 않고 전체 산업 및 업종에 걸친 직종 등을 대상으로 한다.

직업별로 특정한 정보만을 강조하지 않고 보편적인 항목으로 이루어진 기초적인 직업정보체계로

구성되어 있다.

 

해설) 특정시기에 국한되지 않고 지속적으로 제공하는 것

 

 

58. 한국표준직업분류(제7차) 개정 시 대분류 3 “사무 종사자에 신설된 것은?

행정사   신용카드 모집인   로봇공학 기술자 및 연구원   문화관광 및 숲·자연환경 해설사

 

해설)  행정사, 대학행정조교, 증권 사무원, 금융 사무원, 중계 사무원

 

 

59. Q-net(www.q-net.or.kr)에서 제공하는 국가기술자격 종목별 정보를 모두 고른 것은?

자격취득자에 대한 법령상 우대현황
수험자 동향(응시목적별, 연령별 등)
연도별 검정현황(응시자수, 합격률 등)
시험정보(수수료, 취득방법 등)

① ㄱ ㄴ ② ㄷ ㄹ ③ ㄱ ㄴ ㄹ ④ ㄱ ㄴ ㄷ ㄹ

 

해설)  모든 보기가 답인 경우도 많으니 참고하자

 

 

60. 직업정보의 일반적인 평가기준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어떤 목적으로 만든 것인가

얼마나 비싼 정보인가

누가 만든 것인가

언제 만들어진 것인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