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발달심리학이란?
1) 발달심리학의 개념
∙ 인간발달에 대한 학문체계, 인간이 태어나 성장, 변화해 가는 과정과 법칙을 연구하고 체계적으로 다루는 학문.
∙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발달의 변화를 객관적으로 정확히 기술하는 학문.
∙ 각 연령단계에서 나타나는 평균적인 발달과정을 밝힌다.
∙ 각 단계는 분리된 영역이 아니라 상호연관 되어 있으며 전생애 발달심리의 틀 속에서 연구되어야 한다.
∙ 과거에는 발달심리학에서 유아와 아동, 청소년의 변화에 주로 초점을 맞추었으나 태아기, 신생아 및 영아, 성인, 노인
등 관심 연령이 확대되면서 평생의 발달, 변화 과정을 연구대상으로 한다.
2) 발달심리학의 목표
∙ 인간의 변화양상을 사실적으로 기술하는 것
- 언제 걷기 시작하며, 언제 말을 시작하고 어떤 언어적 변화를 거치는지, 사춘기는 언제 시작되고 어떤 변화 양상을 보이는지 등에 주목한다.
∙ 변화를 일으키는 기제가 무엇인지 설명하는 것
- 변화를 일으키는 원인이 무엇이고 어떻게 작용하는지를 밝힘으로써 인과관계를 설명하고자 한다.
∙ 변화에 대한 기술과 설명을 통해 각 발달단계에서 어떤 변화가 일어날지를 예측한다.
∙ 예측을 바탕으로 적절한 통제 및 개입을 한다.
- 예측을 통해 발달상의 부적절한 변화가 예견되면 이를 최소화하고 최적의 발달을 촉진하고 유지할 수 있는 발달적 개입을 할 수 있다.
3) 발달과업 (발달과제)
∙ 개념
: 하비거스트는 발달과업을 인간발달의 각 단계마다 성취해야 할 과업으로 보았고 발달과업의 성공적인 성취가 이후의 삶에 행복과 성공을 가져오는 반면, 실패는 불행과 이후 과업에서의 장애와 부적응상태를 가져온다고 보았다.
∙ 개인생활 주기와 발달과업
① 영아기
: 젖떼기, 걷기, 말하기 시작, 돌봐주는 사람에 대한 신뢰와 애착 형성
② 유아기
: 기본적 생활 습관 형성, 언어에 의한 소통
③ 아동기
: 또래 친구들과 어울리기, 적절한 성역할 학습
④ 청소년기
: 자아정체감 형성, 사회적으로 책임감 있는 행동수행
⑤ 장년기
: 건전한 가정의 형성 및 유지, 직업의 선택 및 유지, 자녀 출산과 양육, 노후 준비
⑥ 노년기
: 건강관리, 배우자 사별에 대한 준비, 여가선용, 경제적 대책마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