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직업상담사) 직업정보론 21년 1회 51~60번 정리하기

오늘의 공부는 직업정보론 21년 1회 51~60번 문제풀기입니다.

 

 

51. 다음은 어떤 국가기술자격 등급의 검정기준인가?

해당 국가기술자격의 종목에 관한 공학적 기술이론 지식을 가지고 설계 · 시공 · 분석 등의 업무를 수행할
수 있는 능력의 유무

→ 기사

 

기사: 공학적 기술이론

산업기사: 기술기초이론과 숙련기능

기능사: 숙련기능

기능장: 최상급의 숙련기능

기술사: 고도의 전문지식

 

 

52. 직업정보 수집 · 제공 시 고려해야 할 사항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 명확한 목표를 가지고 계획적으로 수집한다

- 최신의 자료를 수집한다

- 자료를 수집할 때 자료 출처와 일자를 기록한다

- 직업정보는 전문성이 있으므로 전문용어를 사용하여 제공한다.

  → → 일반인을 대상으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므로 일반인이 전문지식이 없어도 이해할 수 있도록 이해

         가능한 용어를 사용하여 제공

(참고 : 정보를 분석할 때는 전문가의 시선으로 분석하고 제공할 때에는 일반인이 이해 가능한 용어를

사용하여 제공)

 

 

53. 직업훈련의 강화에 따른 효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직업훈련의 강화는 구조적 실업을 대비하기 위한 것이다)

- 인력부족 직종의 구인난을 완화시킬 수 있다

- 재직근로자의 직무능력을 높일 수 있다

- 산업구조의 변화에 대응할 수 있다

- 마찰적인 실업을 줄일 수 있다   → →  직업정보 제공을 통해 줄일 수 있다

 

 

54. 국가기술자격종목과 그 직무분야의 연결이 틀린 것?

- 직업상담사 2- 사회복지 · 종교

- 소비자전문상담 2급 - 경영 · 회계 · 사무

- 임상심리사  2급 - 보건 · 의료

- 컨벤션기획사 2급 - 이용 · 숙박 · 여행 · 오락 · 스포츠   → →  경영 · 회계 · 사무

 

 

55.한국직업사전(2020)의 부가정보 중 "자료"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 부가정보: 직무기능 - D (데이터)  P (사람)  T (사물) 중에서 자료(D) - 종 조 분 수 계 기 비

  ==> 종합  조정  분석  수집  계산  기록  비교

 

- 종합: 사실을 발견하고 지식개념 또는 해석을 개발하기 위해 자료를 종합적으로 분석한다

- 분석: 조사하고 평가한다. 평가와 관련된 대안적 행위의 제시가 빈번하게 포함된다

- 기록: 데이터를 옮겨 적거나 입력하거나 표시한다

- 계산: 사칙연산을 실시하고 사칙연사과 관련하여 규정된 활동을 수행하거나 보고한다

  수를 세는 것도 포함된다    → →  수를 세는 것은 포함하지 않는다

 

 

56. 다음은 무엇에 대한 설명?

근로자를 감원하지 않고 고용을 유지하거나 실직자를 채용하여 고용을 늘리는 사업주를 지원하여 근로자의 고용안정 및 취업취약계층의 고용촉진을 지원한다.

→ →  고용안정사업

 

 

57. 직업정보 조사를 위한 설문지 작성법과 거리가 가장 먼 것?

- 이중질문은 피한다

- 조사주제와 직접 관련이 없는 문항은 줄인다

- 응답의 고정반응을 피하도록 질문형식을 다양화한다

- 응답률을 높이기 위해 민감한 질문은 앞에 배치한다. 

→ →  민감한 질문과 특수한 질문을 앞에 배치하면 응답자가 부담을 가지게 되므로 뒤에 배치한다. 

 

 

58.  한국표준직업분류(제 7차)에서 포괄적인 업무에 대한 직업분류원칙에 해당하는 것은?

(참고: 2차시험에도 자주 출제 됨)

→ →  최상급 직능수준 우선 원칙

 

① 직업분류의 일반적인 원칙

- 포괄성의 원칙: 우리나라에 존재하는 모든 직무는 어떤 수준에서든지 분류에 포괄되어야 한다

- 배타성의 원칙: 동일하거나 유사한 직무는 어떠한 경우에든 같은 단위 직업으로 분류되어야 한다

 

포괄적 업무에 대한 직업분류 원칙  (포 주 최 생)

- 주된 직무 우선의 원칙   

- 최상급 직능수준 우선의 원칙   

- 생산업무 우선의 원칙

 

다수직업 종사자의 분류원칙  (다 취 수 조)

- 취업시간 우선의 원칙 

- 수입 우선의 원칙   

- 조사 시 최근의 직업원칙

 

 

59. 워크넷(직업 · 진로)에서 제공하는 정보

- 학과정보

- 직업동영상

- 직업심리검사

 

아닌 것 - 국가직무능력표준(NCS) → 국가에서 제공

 

 

60. 직업정보의 처리단계

수 분 가 (체) 제 (축) 평 =>> 수집 → 분석 → 가공 → (체계화) → 제공 → (축적) → 평가

 

 

 

 

오늘의 공부는 여기까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