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소년이해론) 청소년기의 이해 1 (고대 희랍시대, 플라톤, 아리스토텔레스, 중세기, 계몽기, 루소, 홀, 미드)
오늘은 청소년이해론에서 '청소년기의 이해' 부분에 대하여 공부하겠습니다.

제 1장 청소년기의 이해
1. 고대 희랍시대
1) 플라톤 (Platon)
① 이성은 아동기에 발달하는 것이 아니라 청소년기에 발달.
→ 청소년기에는 이성(합리적인 사고)을 요구하는 과학과 수학을 지도해야 한다.
② 성격형성은 주로 아동기 초기에 발달하지만 청소년기의 경험도 성격형성에 영향을 미친다고 보았다.
2) 아리스토텔리스(Aristoteles)
① 청소년기에 가장 중요한 것은 자기선택에 의한 자기결정을 하는 선택능력의 발달이라고 주장하였다.
② 청소년기의 자기결정능력과 통제능력이 육체적인 성숙과 이성의 도야를 함께 고양시킴으로써 발달될 수 있다고
보았다.
2. 중세와 계몽기
1) 중세기
① 아동과 청소년을 바라보는 시각이 냉소적이며 비관적이었다. 엄격한 교리주의적 전통은 아동의 비이성적인 행동을 그들 마음속에 있는 악령의 탓이라 여겼고, 악령을 쫓아내기 위해서는 혹독한 훈육과 체벌, 노동이 필요하다고 보았다.
② 특정기술을 익히기 위한 도제식 교육은 혹독하였지만 당연시하였고, 청소년들의 독자적인 문화와 사고방식은 허용되지 않았다.
2) 계몽기
① 루소(Rousseau)
: 이전보다 청소년에 대하여 계몽적인 견해를 가지고 있었다. 어린이는 ‘독립적인 인격체’ 이며, 12세 가량이 될 때까지 어른들의 규제로부터 자유로워야 하고, 그들의 세상을 자유롭게 경험할 수 있도록 허용되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3. 근대 말과 20세기 초 (지금의 ‘청소년’이라는 개념이 창안된 시기)
1) 1890~1920년 : 수많은 심리학자, 교육학자, 상담자 등은 청소년이 퇴폐적인 문제의 원인 제공자가 아니라 수동적이고 상처받기 쉬운 존재에 불과하다고 주장하였다.
2) 홀(G. Stanley Hall)의 청소년 개념의 재정립
① 청소년기는 갈등과 정서혼란이 가득한 질풍노도의 시기로, 혹은 청소년을 퇴폐문화의 원인 제공자로 보았다. 청소년의 발달은 유아기나 아동기보다는 환경의 영향력이 더 크며, 유전과 환경의 상호작용이 청소년기의 발달을 결정한다고 하였다.
② 발달 단계 : 유아기, 아동기, 청소년 전기, 청소년 후기로 구분 (특히 청소년기는 14~25세의 연령범위)
③ 청소년들의 사고와 감정, 행동은 자만과 겸손, 선과 유혹, 행복과 슬픔 사이를 오간다고 하였다.
3) 미드(Margaret Mead)의 사회문화적 견해
① 사모아 섬의 청소년들을 연구하여 청소년들의 기본적인 성질이 생물학적 특징을 가진다고 주장하는 홀과는 달리 사회문화적인 특징을 지닌다고 주장하였다.
② 청소년들이 성관계 및 출산하는 모습을 관찰할 수 있도록 하고, 죽음을 자연스럽게 받아 들이도록 허용한 결과 그들이 스트레스로부터 비교적 자유로울 수 있었다고 하였다.
그러나, 사모아 섬의 청소년들과 다른 나라의 청소년들이 동일한 경험을 할 수 없다는 것과 사모아 청소년들은 미드가 관찰한 것보다 더 많은 스트레스를 경험하고 있으며, 청소년의 비행도 많이 발생한다는 점에서 비판 받았다.